[금요시단] 신지혜 시인의 시집 『토네이도』를 읽고 - 최일화 / 시인 신지혜 시인에 대한 전기적 사실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서울 출신으로 미 동부에 거주한다는 것, 2002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고 2007년 5월 첫 시집 『밑줄』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 뿐이다. 그러나 SNS를 통해서 시인의 소식을 가끔 듣곤 한다. 2007년 첫 시집을 내고 13년 만인 2020년 9월 두 번째 시집 『토네이도』를 출간했다. 시인은 굵직한 문학상 몇 개를 수상했고 그 탁월한 시적 성취로 국내 시단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세상엔 수많은 시인이 있고 개성도 다양하여 시를 읽을 때마다 예상하지 못한 시인들의 탁월한 작품성, 그 개성적 표현에 감동받는 경우가 자주 있다. 탁월한 시인에게서 오는 언어의 향기, 그것은 종교적 영감을 받는 것만큼 가슴 설레는 일이다. 나는 시를 읽을 때 때로는 윤리로 때로는 종교로 때로는 예술로 읽는다. 시는 그냥 일반 언어가 아니다. 종교적 깨달음이 전해져 오고, 영혼을 울리는 전율이 파도쳐 오고 일상 속 어딘가에 숨어 있던 생의 비의가 모습을 드러나기도 한다. 우리는 그만 그 시적 언어에 중독되어 평생을 시와 함께 살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그것이 바로 시의 사명이고 효능이며 예술성일 것이다. 오늘은 신지혜 시인의 첫 시집 『밑줄』에서 두 편, 두 번째 시집 『토네이도』에서 두 편을 함께 읽으며 시인의 시정에 젖어보기로 한다. 긴 설명이 종종 독자의 감상을 방해하는 일도 발생한다. 독자 스스로 천천히 읽으며 언어의 미감을 느껴보고 나직이 내면으로 울려오는 시상의 흐름을 감지해 보기 바란다. 바지랑대 높이 굵은 밑줄 한 줄 그렸습니다 얹힌 게 아무것도 없는 밑줄이 제 혼자 춤춥니다 우르르 천둥번개 호통뿐인데, 웬걸? 소중한 말씀들은 다 어딜 가고 밑줄만 달랑 남아 본시부터 비어 있는 말씀이 진짜라는 말씀, 조용하고 엄숙한 말씀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인지요 空의 말씀이 형용할 수 없이 깊어, 밑줄 가늘게 한 번 더 파르르 빛납니다 시 <밑줄>은 상당히 시각 이미지의 시이다. 조용히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며 한 줄 한 줄 읽어나가면 떠오르는 선명한 이미지가 있다. 그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으로 훌륭한 시 읽기가 된다. 빨랫줄을 보고 이만한 시상을 끄집어내는 시인의 상상력도 대단하거니와 고전적인 이미지의 창출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시를 읽고 우리는 금세 아날로그 시대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빨랫줄이 고향을 환기시키고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불러다주는 사물이다. 내용은 다소 철학적이고 종교적이지만 그 소재는 소박한 전통 생활방식에 닿아 있어서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가벼운 디스크 한 장 속에 눌린 그녀의 목소리엔 소름 끼치도록 아름다운 魔力이 아직 살아있어, 아직도 너에게 넘치는 사랑 부어주려 하네 워워워―― 나는 좀 더 가까이 듣기 위해 내 안으로 귀를 말아 넣습니다 내 휴식의 텅 빈 활선을 따라 번져갑니다 하지만 한 번 입력된 그녀의 곡조는 지워지지 않은 채 찢겨진 내 생각 밖으로 흘러나와 나를 물들이고 죽은 여가수를 생각하며 시인이 발산하는 언어엔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담론이 들어 있고 삶과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각성이 있고 어제와 오늘에 대한 시간의 성찰이 있다. 이미 죽은 가수가 지금 여전히 존재하고 예전에 불렀던 노래가 오늘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상황, 그것은 철학적 담론이고 종교적 영역이 되기도 한다. 여가수의 노래가 시의 오브제로 제시되었지만 여기서 ‘노래’는 모든 예술을 대신하고 ‘여가수’는 모든 예술가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죽은 여가수의 노래를 듣는 화자는 언제 또 죽은 시인의 시를 읽고 죽은 화가의 그림 앞에서 오래 상념에 젖어 있게 될지 모른다. 이역만리 미국에 거주하며 이런 시상을 다듬어 고국의 독자에게 내놓는 시인에게 감동으로 찬사를 대신할 따름이다. 다음은 두 번째 시집 『토네이도』에서 두 편 골라보았다. 시는 여타의 생활문과는 달리 심안(Inward Eye)으로 읽어야 한다. 마음을 가다듬고 천천히 한 번, 두 번 읽고 다시 또 읽으며 시의 흐름에 조용히 나를 맡겨 보자. 대륙을 강타한 토네이도 너는 처음에 무화과나무 밑에서 부스스, 가느다란 실눈을 떴지 고요해서 숨이 막혀요 너는 이따금씩 울부짖었지 너는 마침내 홀로이 길을 떠났지 너의 가느다란 휘파람으로 들꽃의 울음 잠재워주곤 했지 나 자신이 누구야, 대체 누구란 말이야, 너는 외로움 씨눈 하나 빚었지 너는 천천히 스텝을 밟게 되었지 누군가 너를 상승시켰지 점점 격렬해졌지 벌판 들어 올리고 내려놓으며 바다 철버덕 내리치며 빙글빙글 도는 동안, 휘말리는 대지, 바다, 허공이 나에게 자석처럼 달라붙었지 네 몸이 점점 부풀어 올랐지 루핑들이, 입간판들이, 너의 손을 잡고 달려주었지 너도 처음엔 아주 미세한 숨결이었어 무화과나무 그늘 밑에서 겨우 부스스 눈을 떴어 처음부터 토네이도로 태어나진 않았어 토네이도는 캔사스 주 들판을 송두리째 뒤엎고 스스로 숨을 거두었다 할딱이는 가느다란 숨결은 나뭇잎 한 장 뒤집을 힘도 없이 어느 오후 공기의 대열 속에 틀어박혀 고요한 공기 눈알이 되었다 마치 한 사람의 격렬한 인생처럼, 치열하게 광란하던 한 시절만이 벌판의 전설이 되었다 시 <토네이도>는 한 사람의 인생을 자연 현상 토네이도에 대비한 시적 결과물이다. 무화과나무 밑에서 부스스 실눈을 떴던 여린 토네이도가 벌판을 들어 올리고 바다를 철버덕 내리치는 괴력을 발휘하다가 다시 나뭇잎 한 장 뒤집을 힘도 없이 사그라지는 모습은 바로 우리 인간의 삶의 과정을 묘사한 것이 분명하다. T.S 엘리엇은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개인의 재능이라는 특수성은 전통이라는 보편성 속에 녹아들어 비로소 문학 작품으로 기능한다고 지적했다. 작품 <토네이도> 속엔 한 시인이 낯선 환경에 적응해가는 특수한 과정이 나타나 있는가 하면 한편으론 모든 사람의 삶이 처음엔 미약하나 점차 확장되어 거창한 한 생애로 발전해가는 보편성이 담겨 있다. 신지혜 시인은 누구보다도 스케일이 큰 시를 선보이고 있다. 전 지구적이고 우주적인 상상력으로 시의 지평을 확대하고 있다. 시선은 무량광대한 대양과 대륙, 전 지구와 우주를 포괄하되 묘사는 정교하고 치밀하다. 행과 행, 연과 연이 유기적 관련을 맺으면서 밀도를 높여가며 주제를 선명하게 밝히고 있다. 어디에서 이런 우주적 상상력이 발현되었을까. 아무래도 시인이 조국을 떠나 외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틀이 형성되고 수많은 사연으로 사고는 확장되고 안목이 깊어졌을 것이다. 삶의 여정이 그런 문학적 토양을 이루고 내고 거기에 시적 자질이 크게 한몫 했을 것이다. 허드슨 강줄기가 대서양 향하여 천천히 방향을 틀었다 함께 가는 길은 즐겁다 천 갈래 만 갈래 석양에 찢겨지는 물방울의 각자 염원은 어서 휴거 되어 구름이 되는 것 한때 키 작은 들풀의 마른 몸 구석구석 씻어주었던 물방울이 한때 하역장 쓰레기더미 속에서 흘러나온 냄새나던 물방울이 한때 고요를 사랑한 시다나무 뿌리의 자양분이었던 물방울이 여기선 모두 평평하였으며 돌아봐도 똑같은 큰 얼굴이었으며 도대체 어디서 누굴 적셔주던 것들이었는지 모를 어깨들과 나란히 큰 힘이 되었다 간곡한 기도가 통해서 구름으로 휴거되지 않아도 좋았다 강줄기는 함께 대서양을 창조했으며 어디서 온 줄기들인지 서로 함구했다 무거운 자아를 홀로 들고 있지 않아도 되었다 그들의 변신은 늘 찰나였으므로 구름이 되거나 얼음이 되거나 또다시 물이 되고자 떠나기도 했다 대서양은 모든 물방울을 넉넉한 품안에 한꺼번에 끌어안고 “괜찮아, 잘 될 거야, 넌 아름다운 구름이 될 거야” 늘 토닥이며 노래했다 시를 해설하려고 하면 시 읽는 재미를 훼손할 수 있다. 시 읽는 행위는 객관적으로 설명을 들어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능동적이고 주관적인 행위로서 읽는 사람 스스로 주체가 되어 참여할 때 바른 시 읽기가 성취된다. 이 글에서 혹 내가 해설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독자가 있다면 필자인 나 자신의 시 읽기 행위였다는 점을 이해하고 나의 설명에 대해선 참고만 하고 독자 스스로 시를 음미할 것을 권해드린다. 수십 년 시를 써온 필자도 종종 탁월한 시인 앞에선 경외감을 갖게 된다. 단지 개성이란 점을 뛰어 넘어 객관적으로 보아 탁월한 詩才 앞에 그만 무력감을 느끼기도 한다. 나의 시는 오직 나만이 쓸 수 있는 독특한 가치가 있다고 다독이며 다시 기력을 회복하지만 얼마간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문학평론가 오민석 교수는 신지혜 시인의 시세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신지혜 시인이 바라보는 세계는 크게 세 개의 층위로 이루어져 있다. 그 첫 번째는 유한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다가 소멸하는 물질적 세계이며, 두 번째는 그것들의 초월적 영혼이자 무한 자아인 아트만이고, 세 번째는 앞의 두 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더 큰 우주적 세계의 근원으로 걸림 없이 자유자재 넘나드는 것이다. 신지혜 시인의 시는 남달리 큰 우주적 스케일의 사유와 변화무쌍한 상상으로 무한천공을 잘 노닌다. 이 시집은 그 누구도 예측 불허하는 시인의 폭넓은 시선이 펼쳐내는 ‘우주’의 파노라마이다.”
2020.11.29 http://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47&fbclid=IwAR3y4t6o9tXoBryKiGKj5vaz1mnyaFd_UGMTCtjMe-jZ1Worl_zgh52CiVI
|